게시판공지사항
공지사항
제 목 [중앙일보 칼럼 : 홍성수 주임교수] 세상에 완벽한 자율주행차는 없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0.02.25 [10:19]
조회수 1,176

영화 속 미래 도시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장면은 운전사 없이 혼자 움직이는 자동차다. 헨리 포드가 포드 ‘모델 T’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대중화 시대를 연 1920년대에 이미 인간은 자율주행을 꿈꿨다. 25년 프란시스 후디나라는 발명가가 운전사 없는 무선조종 자동차로 뉴욕 맨해튼을 질주한 바 있다. 그러나 그 정도였다.  


눈에 띄는 진전은 2005년 이뤄졌다.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그랜드 챌린지’였다. 구절양장 산길과 절벽, 좁은 터널이 있는 네바다주 모하비 사막의 240㎞ 험로를 23대의 자율주행차 가운데 5대가 완주했다. 고무된 전문가들은 인간 운전자와 유사한 정도의 자율주행을 실현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센서 기술 등의 제약으로 기대는 곧 벽에 부닥쳤다.  

새 희망은 2013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제시됐다. 패기에 찬 독일 엔지니어들이 청사진을 내놨다. 스마트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인터넷과 대형 컴퓨터(클라우드 서버)에 연결해, 컴퓨터가 원격 조정하듯 자동차를 움직이게 하자는 것이었다. 그 뒤 영상 인식에서 인간을 추월하기 시작한 ‘딥 러닝’ 기술이 더해지면서 자율주행차가 보편화하리란 기대가 높아졌다.  

계속 미뤄지는 자율차 상용화 

이런 추세에 발맞춰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리더들은 물론, 실리콘밸리의 IT 기업들까지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들은 앞다퉈 야심 찬 자율주행차 상용화 로드맵을 제시했다. 메르세데스-벤츠·BMW·아우디 등 독일 자동차 기업들은 “2018년 부분 자율주행차(용어설명 참조), 2020년 고도 자율차, 2025년 완전 자율차를 양산한다”고 선언했다.  

불행히도 계획대로 될 것 같지는 않다. 전문가들은 완전 자율주행차의 보급이 일러도 2030년 이후일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진단하기도 한다. 더딘 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자율주행 기술에 엄청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이런 질문이 나온다. ①글로벌 기업들이 계속 자율주행차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②대중화는 왜 더디고 어려운가. ③언제쯤 대중화될까.  

첫 질문에 대한 답은 자율주행이 제공하는 엄청난 산업적 기회와 사회적 편익이다. 자율주행시대에 인간은 운전에서 벗어나 그 시간을 새로운 가치 창출에 쓰게 된다. 교통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 사회적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급격히 증가하는 노년층에게 완벽에 가까운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유통업에서는 혁신적인 서비스가 창출된다. 그래서 끊임없이 투자해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지만, 상용화는 더디기만 하다. 사고의 위험성, 그리고 자율주행차가 일으키는 사고를 인간이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고민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추구하는 궁극적 기술 목표가 안전·편의·친환경인 만큼, 자율주행은 종종 안전 또는 ‘무사고 자율주행’을 의미하게 됐다. 도전적인 자율주행 기술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자율주행차가 인간이 운전하는 차량보다 훨씬 안전하다’는 인상을 심어줬다. 안전 차량의 대명사 격인 볼보는 ‘무사고 차량’의 개발을 궁극 목표로 표방해 왔으며, 이를 자율주행차로 달성하려고 한다. 자율주행차를 지지하는 많은 기술 애호가들 역시 자율주행을 통해 무사고 교통 서비스를 성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운전자의 주의 태만이나 판단 착오와 같은 인적 오류를, 고성능 센서를 장착한 기계 지능을 통해 원천적으로 배제한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일견 타당해 보이지만, 중요한 전제를 필요로 한다. ‘인간이 사고를 일으키지 않는 모든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도 사고를 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매우 어려운 과제다. 기계 지능을 인간의 감각·직관, 경험·추론 능력에 필적하게 하는 것은 여전히 힘겨운 일이다. 패턴 인식에 탁월하지만, 추론에 취약한 딥러닝 기술로는 필연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고 0 자율주행차’를 기다려서는 상용화를 이룰 수 없다. 오히려 무결한 안전 자율주행을 포기해야 비로소 자율주행차의 보편화를 누릴 수 있다. 이는 자율주행 기술의 실체가 초창기부터 과장됐으며, 기대가 상당히 부풀려졌음을 의미한다. 


칼럼 전문 :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2977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