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공지사항
공지사항
제 목 [전자신문 칼럼 : 홍성수 주임교수]자동차 산업의 미래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9.12.17 [15:23]
조회수 1,079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다임러 그룹 전 회장 디터 체체가 정의한 CASE로 잘 요약된다. 연결성(Connected), 자율주행(Autonomous), 차량 공유(Shared), 전기차(Electric)가 그것이다.

차량 공유는 이미 많은 기업이 활발하게 상업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차량공유 산업에 대해 크고 작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차량공유 기업 우버와 리프트는 올 상장 시점 대비 주가가 35% 이상 하락했다.

공유 차량과 함께 가장 크게 각광받는 분야는 자율주행 기술이다. 완전자율주행이 인류에게 제공하는 편익과 산업 효과가 상당히 크다. 선진 자동차 제조사는 물론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까지 나서서 완전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 로드맵을 제시하고 시한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차량 간 충돌 사고는 물론 보행인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서 완전자율주행 자동차 실용화는 주춤해진 상태다.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발생한 자율주행차의 보행자 사망사고는 완전자율주행차의 구현이 복합된 기술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잘 보여 준다.

차량 주변에서 이동하는 장애물의 경로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 역시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실제로 2025년 완전자율주행차 대중화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속마음이다.

또 다른 차세대 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차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기차의 존재 가치는 친환경성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기차 산업의 최대 후원자인 유럽연합(EU)2021년부터 1주행당 95g를 초과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승용차 제조사에 벌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일부 하이브리드 차량을 제외하면 사실상 다수 생산 모델을 전기차에 맞출 수밖에 없을 정도로 전기차 생산을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 친환경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 전기 생산 방식에 따라 친환경성이 상실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단편 사례로 노르웨이에서 수력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는 이산화탄소가 없지만 한국에서 생산된 전기는 94.1g 주행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전기차 산업이 이 같은 논란을 잠재우고 지속 가능한 친환경 차량 자리를 차지할지는 아직 예측하기 어렵다. 오히려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은 교통 정보와 지형 정보를 활용, 내연기관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연결기반자동차 기술이 전기차를 제치고 친환경 자동차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미국 가트너가 제시한 신기술의 생명곡선 모델 이라는 것이 있다. 새로운 기술이 제시되면 많은 기대와 관심을 받아 대중의 인기를 차지하지만 곧 기술의 한계가 드러나 침체를 거치게 된다는 모델이다.

많은 신기술이 그 침체기에 소멸되지만 일부 신기술은 살아남아서 대중화 단계에 진입한다. 물론 미래자동차 CASE는 아직 대중화에 이르지 못했고, 많은 과장과 기대가 주를 이룬다. 이는 언론이나 기업은 물론 특정 국가의 정부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국가 정책 목표와 비전을 만든다. 기대와 일부 우려 속에서 절치부심으로 살아남은 신기술은 특정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러한 점을 인식한 국가들은 각자 자신의 철학으로 자신의 노래를 부르면서 과감하게 연구개발(R&D)에 투자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과연 우리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지 자문하고 싶다.

홍성수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sshong@filewood.snu.ac.kr

 

*칼럼링크: http://www.etnews.com/20191216000195#